퇴직 후 소득공백에 대비하고 있는가?
(50대 직장인, 돈 걱정 없는 노후를 위한 체크리스트 3)
◈ 소득공백에 대비하고 있는가?
(소득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재원 마련)
앞전 글에 이어 오늘도 퇴직을 앞둔 50대 직장인이 퇴직 전에 돈 걱정 없는 노후 준비를 위해 미리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 공백 기간 ( 65세 국민 연금 수령의 경우 )
예) 57세 명예퇴직할 경우 : 8년의 소득공백기간
60세 정년퇴직할 경우 : 5년의 소득공백기간
퇴직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은 퇴직 후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금 수령 시까지의 소득 공백 기간을 확인하여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재원 마련 등의 대비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퇴직 후 재취업 또는 창업을 고려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준비 기간과 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소득 공백 기간 중의 재원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지금부터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하는 몇 가지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재원 마련 방법
1. 퇴직금
퇴직금 (법정퇴직금, 명예퇴직금)을 IRP연금저축 계좌에 이체 후 소득 공백 기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하도록 합니다.
2. 연금계좌의 적립금 및 운용 수익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하므로 소득 공백 재원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3. 연금보험
보통 10년 이상 납입 시 45세부터 연금 개시가 됩니다.
(상품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므로 확인 필요)
4. 노령연금
65세에 연금 수령이 가능한 경우에 최장 5년 앞당겨 60세부터 조기 수령이 가능하므로 소득 공백시 재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단, 년 6%씩 연금금액이 감액되어 5년 조기 수령 시 30%가 감액된다는 사실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5. 주택연금
주택연금도 소득 공백 기간의 재원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가입과 수령조건 등을 확인하여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주택연금 가입조건 : 주택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 부부 중 연장자가 55세 이상
※ 주택 연금 활용 시 주의 사항
- 연금을 일찍 개시할수록 이자 부담이 상승합니다.
- 연금을 일찍 개시할수록 연금 수령 기간이 늘어나 연금액이 감소합니다.

이상 퇴직 후 공적 연금을 수령하게 되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재원 마련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반드시 퇴직 전에 소득공백기간을 대비할 수 있을지를 확인하여 소득공백으로 인한 어려움을 대비할 수 있기 바랍니다.
은퇴 전 주택 담보 대출을 전부 상환할 수 있는가? (0) | 2023.07.10 |
---|---|
은퇴 후에도 보험료를 계속 내야 하나? (0) | 2023.07.09 |
임금피크제 적용을 받는가? 퇴직 전에 확인하자 (0) | 2023.07.07 |
은퇴 이후 연금 맞벌이를 할 수 있는가? 퇴직 전에 대비하자 (0) | 2023.07.06 |
풍요로운 노후를 위한 4층연금을 준비하자, 내가 가입하고 받을 수 있는 연금은? (0) | 2023.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