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표, 4계절 절기 날짜, 절기 한자와 절기별 의미와 특징, 행사

알뜰알짜 2023. 9. 13.

저도 항상 헷갈리는 24절기, 오늘은 이 24절기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절기가 무엇이며, 절기를 사용하는 이유, 절기의 날짜와 절기의 한자, 그리고 각 절기의 의미와 특징, 행사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24절기의 뜻과 절기를 사용하는 이유

 

24절기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계절의 표시하여 정한 날들을 말합니다. 대략 15일 간격으로 구분됩니다. 

 

※ 참고로 달을 기준으로 달모양에 따라 날짜를 세는 방법을 태음력(太陰曆)이라 합니다. 그러나 태음력은 음력의 날짜의 흐름을 쉽게 알게 하지만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지는 못합니다. 계절은 태양의 운동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24절기는 계절의 길잡이로서, 우리 조상들은 이 절기에 따라서 계절 변화에 적응하며, 때 맞춰 절기별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기도 했습니다.

각 절기는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농사철을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우리의 생활에 깊은 관련을 맺으며, 절기마다 다양한 세시풍속이 행해지기도 합니다.

 

계절별 절기

 

계  절 절 기 명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24절기표, 계절별 절기날짜, 절기 한자, 절기 뜻, 특징

 

24절기표 ( 절기명, 한자, 절기날짜, 절기의 의미와 특징)

 

절 기 명 날 짜 의미 특징, 행사, 풍속
소한 (小寒) 1월 5일 1년 중 가장 추운 날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죽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가장 추운 시기
대한 (大寒) 1월 20일 1년 중 큰 추위 우리나라 기준은 점차 추위가 물러가는 시기
입춘 (立春) 2월 4일 봄의 시작 (음력으로 새해를 상징) 각 가정에서는 '입춘대길' 등의 글을 벽이나 문에 붙이고 복을 기원한다.
우수 (雨水) 2월 19일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새싹이 나기 시작한다. 우수에는 정월 대보름과 겹치는 때가 많아 찰밥, 오곡밥, 부럼, 귀밝이술, 묵은 나물 등을 먹음
경칩 (驚蟄) 3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 초목의 싹이 돋고 벌레들이 땅 속에서 나오는 시기이다.
춘분 (春分) 3월 21일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농촌에서는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로 여김, 송편과 비슷한 나잇떡, 볶은 콩을 먹음
청명 (淸明) 4월 6일 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한식일과 겹치는 시기로 조상의 묘소를 찾아가는 날
곡우 (穀雨) 4월 20일 봄비가 내리는 날 농촌에서는 볍씨를 물에 담가 모판을 준비하고 못자리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농경을 시작.
입하 (立夏) 5월 5일 여름의 시작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고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 보리가 익어가는 시기. 김매기가 시작되는 시기
소만 (小滿) 5월 21일 볕이 잘 드는 날 농촌에서는 모내기가 시작되는 시기
망종 (芒種) 6월 6일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 농촌에서는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
하지 (夏至) 6월 21일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장마와 가뭄 대비로 바쁜 시기
소서 (小暑) 7월 7일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장마철,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는 시기
대서 (大暑) 7월 23일 1년 중 가장 더운 날 중복무렵,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입추 (立秋) 8월 7일 가을의 시작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
처서 (處暑) 8월 23일 가을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파리, 모기의 성화도 사라지는 시기
백로 (白露) 9월 8일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시기
추분 (秋分) 9월 23일 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이며, 가을을 실감하는 시기
한로 (寒露)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는 시기
상강 (霜降)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시기,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시기, 첫 얼음이 얼기도 한다. 단풍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이며 추수가 끝나는 시기
입동 (立冬) 11월 7일 겨울의 시작 예전에는 김장을 하고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
소설 (小雪) 11월 22일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땅이 얼기 시작하고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
대설 (大雪) 12월 7일 1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일년을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때
동지 (冬至) 12월 22일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 동지 팥죽을 먹는 날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고 하며 동지를 나이의 기준으로 여김

 

 

이상으로 오늘은 24절기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24절기는 언제인지, 날짜와 그리고 각 절기의 한자와  각 절기마다의 의미, 특징, 풍습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기기 바랍니다.

댓글